다중플롯은 보기만 해도 무시무시한데, 그걸 작성하면서 시나리오 작가가 얼마나 힘들었나 느껴지기 때문이다.
폴 토마스 앤더슨은 그 무시무시한 작업을 해낸다.
'부기나이트'와 '매그놀리아' 두 작품은 딱히 누가 주인공이라기보다 세계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 이후 작품들은 좀 더 인물에 집중한 느낌이 크고.
인물 하나하나의 우연들이 모여서 하나의 세계를 만들어내는 작품이 가능할까.
꿈처럼 느껴지던걸 '매그놀리아'라는 작품이 해냈다는 걸 뒤늦게 알고 나니 멍해진다.
좋은 시나리오만 완성되면 영화는 거의 끝난 거라고 말한 폴 토마스 앤더슨의 호언장담은 '매그놀리아'의 각본을 보니 납득이 됐다.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앤트맨과 와스프 (Ant-Man and the Wasp , 2018) (0) | 2018.12.23 |
---|---|
마스터 (The Master , 2012) (0) | 2018.12.20 |
그린 북 (Green Book , 2018) (0) | 2018.12.19 |
부기나이트 (Boogie Nights , 1997) (0) | 2018.12.19 |
팬텀 스레드 (Phantom Thread , 2017) (0) | 2018.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