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니스영화제

귀주 이야기 (秋菊打官司 , The Story Of Qiu Ju , 1992) 대한극장에서 장예모 특별전 마지막으로 본 영화. 오늘부로 드디어 네 편 모두 봤다. 특별전으로 재개봉한 영화를 이렇게 열심히 챙겨본 게 처음이다. 아마 코로나 때문에 그동안 극장에 못 가다가 극장의 즐거움을 오래 느꼈기 때문일까. 일주일만에 간 대한극장인데 코로나 때문에 입구에서부터 온도 체크하고 사진 찍고 자동소독기 같은 걸 거쳐서 지나간다. 예매 때는 3관으로 적혀있었는데 상영관이 6관이어서 늦을 뻔 햇다. 다행히 어제 먼저 갔던 분이 자기가 이런 이슈가 있었다고 공유해줘서 다시 확인한 덕에 시간에 맞춰서 들어갔다. 여성이 주인공일 때 보통 통념에 있는 여성의 특성을 내세우는 경우가 많은데, '귀주 이야기'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영화 통틀어서 성별 상관없이 가장 우직하고 상식적인 사람이 귀주다. '.. 더보기
홍등 (大紅燈籠高高掛 , Raise The Red Lantern , 1991) 코로나 이후로 처음으로 극장에 갔다. '1917'처럼 보고 싶었으나 참았던 작품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가야겠다 싶었다. 장예모의 '영웅'을 좋아하는데 그의 초기작들은 이왕이면 스크린으로 보고 싶었다. 지금 아니면 안 보겠다 싶기도 했고. 큰 스크린에서 보는 건 특별한 경험이니까. 오랜만에 가는 극장이라 그런지 보는 내내 가슴 벅찼다. 게다가 공리는 존재만으로도 아름다웠다. 장예모의 사회비판은 공리를 통해 더욱 절절하게 다가왔다. 극장이기에 울컥한 장면도 존재한다. 집이었다면 그러려니 했을 장면. 일단 첫 번째 부인의 큰 아들이 부는 피리소리에 이끌려 올라갔다가 만난 뒤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가는 장면을 멀리서 촬영하는데 그 상황에서 모든 것이 느껴졌다. 또래 사람을 만나지 못하고 팔리듯 결혼 온 여자의 .. 더보기
비브르 사 비 (Vivre Sa Vie: Film En Douze Tableaux , My Life To Live , 1962) 고다르의 영화는 볼수록 좋아지는 듯 하다. '비브르 사 비'는 안나 카리나의 존재감만으로도 완성된 작품이다. 캐스팅이 확정된 순간 끝났다고 느꼈을지도.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의 '잔다르크의 수난' 속 대사를 따라 나나가 운다. 나나의 운명이 보인다. 불행을 향해 달려가는 운명. 불가항력에 가깝다. 누가 감히 나나의 삶에 대해 함부로 말할 수 있겠는가. 에드가 앨런 포의 소설을 장 뤽 고다르가 나레이션으로 읊고, 프랑소와 트뤼포의 '쥴 앤 짐'이 상영 중인 극장을 지나 나나는 어디론가 끌려간다. 고다르는 직접적인 방식 대신 보여줄 뿐이다. 12장의 구성 중 11장의 철학자가 많은 말을 할 때 나나는 침묵의 가치를 말한다. 누가 나나의 삶에 대해 뭐라고 할 수 있겠는가. 제목의 뜻처럼 자기 생각대로 살 뿐이다.. 더보기
파 프롬 헤븐 (Far From Heaven , 2002) 줄리안 무어는 어떤 수식어를 붙여도 모자랄 만큼 멋진 배우다. '돈 존'에서는 줄리안 무어가 맞나 싶은 캐릭터를 맡고, '파 프롬 헤븐'에서는 계급갈등을 보여주는 인물로 등장한다. 계급갈등을 품은 시대극을 좋아하는 내게, '파 프롬 헤븐'은 토드 헤인즈의 최고작으로 보인다. 본 지 얼마 안 되어서 영화에 취해있느라 그런지도 모르지만. 꽤 오래 전 비올라 데이비스의 얼굴을 봐서 반가웠고, 데니스 퀘이드와 데니스 헤이스버트는 이 작품을 통해 제대로 본 배우다. 요즘 들어서 배우들 이름이 잘 생각이 안 날 때가 많은데, 몇 편 정도 봐야지 배우의 얼굴과 이름이 단숨에 매치가 되려나. 샌디 파웰의 의상과 에드워드 래크먼의 촬영도 좋았다. 특히 샌디 파웰은 내가 좋아하는 작품의 의상 담당을 찾아볼 때마다 보게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