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란영화

택시 (Taxi , 2015) 이번주에 본 이란영화 중에 가장 걱정한 작품이다. 제한된 상황에서 찍은 걸 알고 있기에 지루할 것 같다는 걱정부터 들었다. 그러나 처음 본 자파르 파나히의 작품은 굉장히 훌륭했다. 제약을 핑계로 두는 이들에게 경종을 울릴 만큼 좋았다. 아마 극영화로 예상되지만 형식 자체는 다큐멘터리처럼 보인다. 여러 인물들을 통해 이란 사회를 보여주는데, 결국 영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특히 조카가 등장하면서부터 영화에 대한 태도를 보여준다. 게다가 조카가 엄청나게 귀엽고 사랑스러운 캐릭터라서 보는 내내 웃을 수 밖에 없다. 영화를 대하는 태도에서도 많은 걸 느끼게 만든다. 영화는 삶이 될 수 있을까. 그 태도에 대해서 '택시'는 제약이 무색할 만큼 무한한 확장이 가능한 의견을 제시한다. 더보기
거북이도 난다 (Lakposhtha Ham Parvaz Mikonand , Turtles Can Fly , 2004) 이란의 거장들은 대부분 은유로 유명하지만, 바흐만 고바디의 '거북이도 난다'는 노골적이다. 전쟁을 비롯한 각종 폭력이 자신들의 세계를 얼마나 위협하는지, 가장 나약한 존재인 아이들을 통해 보여준다. 방법론에 있어서 정답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짜임새에 있어서 다소 작위적인 건 아쉬웠다. 아이들의 연기를 디렉팅하는 게 제일 힘들다고 생각하는데, 게다가 전쟁으로부터 상처 입은 아이를 연기하는 건 더욱 힘들 일이 아닐까. 쿠르드인에 대해 전혀 몰랐는데 바흐만 고바디 감독도 크르드인이고, 접경지대에 그렇게 많은 인구가 살고 위협에 시달리며 살았는지 영화를 통해 처음 알았다. 최근 몇 편을 통해 알게 된 이란은 여러모로 복잡한 나라다. 전쟁과 아이를 함께 배치하는 건 위험하다는 생각도 다시 한번 하게 된다. 더보기
클로즈 업 (Close Up , Nema-ye Nazdik , 1990) 처음으로 본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작품이다. 거의 모든 작품이 호평 받는 감독인데, '클로즈업'은 여러모로 특별하다. 삶과 영화의 관계에 대해 이렇게 잘 풀어내기도 쉽지 않다. 다만 정적인 편이라 완전 내 취향은 아니었는데, 엔딩은 정말 의미 있었다. 영화의 의미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본다. 영화가 삶이 될 수 있을까. 그 물음에 대해 이렇게 자기 소신으로 답하는 건 엄청난 일이다. 더보기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Jodaeiye Nader Az Simin, Nader And Simin, A Separation, 2011) 몇 년 전만 해도 극장에서 아트필름 보는 게 당연했다. 오히려 멀티플렉스에서 히어로영화를 보는 게 어색했다. 그러나 씨네큐브와 아트하우스 모모는 안 간지 오래 됐고, 매달 cgv에 가서 히어로영화를 본다. 삶이 퍽퍽할수록 정적인 영화보다는, 아무리 피곤해도 졸지 않고 볼 수 있는 영화가 더 땡기는 건 어쩔 수 없는 듯 하다. 아트필름에 대한 지구력이 많이 떨어졌다고 느낀다. 집에서 영화를 보더라도 정적인 영화는 숙면을 취하고 가장 좋은 컨디션에 본다. 그러지 않으면 지치니까. 안 좋은 영화를 좋은 컨디션으로 볼 때가 제일 속상하다. 아쉬가르 파라디의 '아무도 머물지 않았다'는 개봉과 동시에 챙겨봤다. 그러나 피곤한 상태에서 보긴 벅찬 영화였고 반쯤 졸면서 봤다. 다시 보게 된다면 아마 다른 영화로 보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