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누벨바그

미치광이 피에로 (Pierrot Le Fou , Pierrot Goes Wild , 1965) 장 뤽 고다르 영화를 보기 전에만 해도 포스터 때문에 가장 흥미로웠으나, 가장 난해했다. '언어와의 작별'의 고전 버전이랄까. 그럼에도 끝까지 볼 수 있었던 건 룩북에 가까울 만큼 아름다운 색감 덕분이다. 미술을 맡은 피에르 구프로이는 훗날 '테스'로 오스카에서 미술상을 받는다. 상징으로 가득하고, 모든 걸 해체시켜놓았다. 오후에 대한극장에서 '붉은 수수밭'을 보고 집에 와서 왓챠로 '미치광이 피에로'를 봐서 그런지 몰라도 그 작품의 결이 완전히 갈렸다. 다만 붉은 색감이 돋보인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후대의 감독들이 많은 영향을 받았을 수밖에 없는 작품이다. 전반적으로는 데이빗 린치가 가장 많이 떠올랐다. 내러티브보다 장면장면의 인상으로 전개한다는 공통점 때문일까. 로드무비적인 성격은 '광란의 사랑'을 .. 더보기
국외자들 (Band Of Outsiders , Bande A Part , 1964) 고다르의 주간이라 본 작품인데, '비브르 사 비'가 아직까지 가장 마음에 남는 작품이긴 하다. '국외자들'은 뒷부분에 강도짓하는 장면에서 캐릭터들의 우유부단함이 드러나면서 보는 내내 짜증이 났다. 안나 카리나에서 헤어나오지를 못하겠다. 앞부분에 뛰어다닐 때는 미셀 르그랑의 음악까지 더해져서 보기만 해도 좋았다. 카페에서 춤추는 장면은 장 뤽 고다르 영화 통틀어서도 최고가 아닐까 싶다. 안나 카리나가 만들어낸 장면이 너무 많다고 느낀다. 감독 입장에서 이보다 더한 행운이 있을까. 지금까지 내게 있어서 고다르는 인생 어떻게 살든 적어도 남들이 뭐라고 할 수는 없다, 정도가 요지인 듯 하다. 중후반기에 작품색이 확 바뀐다는데 그때는 과연 어떤 인상을 가지고 보게 될지. 더보기
비브르 사 비 (Vivre Sa Vie: Film En Douze Tableaux , My Life To Live , 1962) 고다르의 영화는 볼수록 좋아지는 듯 하다. '비브르 사 비'는 안나 카리나의 존재감만으로도 완성된 작품이다. 캐스팅이 확정된 순간 끝났다고 느꼈을지도.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의 '잔다르크의 수난' 속 대사를 따라 나나가 운다. 나나의 운명이 보인다. 불행을 향해 달려가는 운명. 불가항력에 가깝다. 누가 감히 나나의 삶에 대해 함부로 말할 수 있겠는가. 에드가 앨런 포의 소설을 장 뤽 고다르가 나레이션으로 읊고, 프랑소와 트뤼포의 '쥴 앤 짐'이 상영 중인 극장을 지나 나나는 어디론가 끌려간다. 고다르는 직접적인 방식 대신 보여줄 뿐이다. 12장의 구성 중 11장의 철학자가 많은 말을 할 때 나나는 침묵의 가치를 말한다. 누가 나나의 삶에 대해 뭐라고 할 수 있겠는가. 제목의 뜻처럼 자기 생각대로 살 뿐이다.. 더보기
네 멋대로 해라 (A Bout De Souffle , Breathless , 1959) 몇 년 만에 본 고다르의 영화다. 하필이면 내가 처음으로 본 고다르의 작품은 '언어와의 작별'이다. 3D인데 서사도 없어서 굉장히 난해하다. 현대미술관에서 상영해줘서 봤는데, 상영 중에 관객들이 그렇게 많이 나가는 영화는 처음이었다. 덕분에 상영이 끝날 때쯤 남아있는 관객은 나를 포함해서 몇 명 안 되었다. 그에 비하면 '네 멋대로 해라'는 친절한 편이다. B급 영화에 대한 고다르의 애정이 묻어나는 데뷔작이다. 초반 30분은 솔직히 졸렸다. 뒷부분으로 가면서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다만 주인공 남자가 내가 제일 싫어하는 안하무인 류의 캐릭터라 짜증나긴 했다. 영화를 다 본 뒤에 진 세버그의 남편이 로맹 가리였고, 둘 다 이른 사이에 세상을 떠났다는 걸 알았다. 진 세버그가 살아있었다면 영화사에 많은 변화.. 더보기